※ 활동기간은 '신청일 기준 1년 이내', '1건 이상'이 기본 요건입니다.
🚀 빠른 통과 전략 5가지
1. 전시 참여 내역은 공식문서로 확보
-
단체전이라도 팜플렛, 도록, 초대장 스캔본 확보
-
날짜와 본인 이름, 작품명이 기재된 문서 필수
-
온라인 전시도 가능 (URL, 캡처, 전시 페이지 포함)
2. 작품 판매·제작도 활동으로 인정
-
갤러리와의 판매 계약서, 정산 내역
-
일러스트, 아트상품, NFT 등도 해당
3. 지역문화재단 활동은 강력한 증빙
-
공공기관 주최 전시, 체험 프로그램, 창작 워크숍 등
-
참가확인서, 공모당선 공고문 캡처 등 활용 가능
4. SNS/블로그 활동도 보조자료로 사용
-
활동을 정리한 블로그 글, SNS 포스트
-
단, 연재 형식보다는 ‘작품 발표’가 중심이어야 함
-
URL + 날짜 인증 가능한 스크린샷 첨부
5. 꾸준히 기록, 정리, 백업
-
작품 발표, 전시, 수익 활동 등은 바로바로 저장
-
자료 정리는 ‘연도별 폴더’로 관리하면 나중에 매우 편리
💡 예술인등록이 필요한 이유 다시 한 번!
-
창작준비금 신청
-
예술인 고용보험
-
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전환
-
국공립기관 지원사업 응모 자격
→ "예술활동증명"은 단순한 등록이 아니라, 예술인으로서의 권리를 지키는 핵심 수단입니다.
🧾 마무리 TIP
-
전시 준비할 때부터 자료 모으기 시작하세요!
-
활동을 ‘증명’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‘기록’입니다.
-
1~2건만 있어도, 공식 활동으로 명확히 정리하면 통과될 수 있어요.
댓글 쓰기